본문 바로가기

기초학습

한글 단축키 모음 / 간편하게 쓰이는 단축키

안녕하세요!!

농이의 일상입니다!

 

간단한 일러스트로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렸는데요.

 

이 시간에는 윈도우 한글로 실무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

글을 쓰게 되었습니다.

 

사실 단축키라고 하면 외워야 하나??!!

라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경향이 있어요.

 

저도 한글, 포토샵, 일러스트, 파이널컷 등

단축키가 유용한 프로그램들을 쓰고 있어요.

쓰면서, 이것을 외우는 부담감을 가지고 외우면 절대로 외워지지 않더라고요.

손에 익히고 쓰다 보면 자동적으로 손이 가게 되어있어요.

습관처럼 말이죠!

그럼 편하게 자주 유용하게 사용되는 몇 가지만 알아보도록 할게요.

 

가장 처음 알아보아야 할 것은 편집 용지입니다.

작업을 할 때, 가장 먼저 크기가 중요하죠.

 

단축키는 F7 입니다.

용지 종류는 A5~A3 등 다양하게 맞추고, 여백도 맞출 수 있습니다.

두 번째는 글씨를 키우고 줄이는 단계입니다.

1번은 글씨를 쓴 모양이고, 2번과 3번은 글씨를 단축키로 키운 후, 줄인 모습입니다.

단축키를 설명드리겠습니다.

Alt + Shift + E (글자 글씨 키우기) / Alt + Shift + R (글자 글씨 줄이기) 입니다.

마우스로 번거롭게 작업하기보다 간단하게 단축키로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 

세 번째도 무척 자주 쓰이는 단축키입니다.

바로 자간 설정입니다.

1번은 기본, 2번은 폭을 줄인 것이고, 3번은 약간 다시 폭을 넓힌 모습입니다.

자간 단축키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글자 단축키와 비슷한데요.

Alt + Shift + N (폭 줄이기) / Alt + Shift + W (폭 넓히기) 입니다.

이것도 매우 유용한 작업이니 꼭 기억하기를 바랍니다.

 

마지막으로 한 가지만 살펴보고 마무리하고자 하는데요.

바로 표 만들기입니다.

표 만들기를 눌러 표를 만들어도 되지만

단축키를 사용하는 시간인 만큼 단축키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Ctrl + N + T 를 눌러주면 첫 번째 표 만들기가 등장합니다.

그리고 줄 수(밑으로 개수) 칸 수(옆으로 개수)를 어떻게 만들 것인지 대하여

고민한 후, 표를 만들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또한, 표 칸을 클릭한 후, F5를 누르게 되면

이런 모양이 발생합니다. 한 블록을 클릭했다는 뜻이지요.

드래그하거나 이 상태에서 F5를 한 번 더 클릭하여 두 블록 이상을 잡은 후,

M을 누르시면 셀이 합쳐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

반대로 S를 누르면 나누는 속성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!

나눌 때, 지금은 양 옆이 같지만, 다를 때를 고려해 하단에 줄 높이를 같게 나누기를

꼭 고려하시기 바랍니다.

오늘은 간단한 한글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!!

익숙하지 않다면 쓰면서 한글과 친해지는 모두 되기를 바래요!

이만!